카카오톡
-
메신저의'송금 서비스'는 필수? 스냅챗(SnapChat), 송금 서비스 시작.-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11. 20. 09:07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스마트폰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모바일 시대'라고 불리는 스마트폰 중심의 사회에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삶의 중심 축이 '모바일'로 옮겨감에따라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PC시대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던 분야가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되는 경우를 종종 목결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바일 시대에 새롭게 생겨난 것들은 '이전의 시대'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던 것들과 결합하면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려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Mobile Messenger)'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 SNS와 모바일메신저를 이용함에따라 다수의 사용자를 보..
-
'텔레그렘 신드롬' - '카톡' 대안이 아닌 '감시 사회'에 대한 저항.-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10. 8. 09:15
요즘 우리 주변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Telegram)'에 대한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10월 1일, '다음(Daum Commuication)'과 '카카오(Kakao)'가 합병을 통해 '다음카카오(DaumKakao)'로 공식 출범을 하며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소통, '모든 것의 연결(Connect Everything)'을 외쳤습니다. 그러나 그와 궤를 같이하여 검찰의 '카톡 검열'파문이 일었고 많은 사람들이 소위 '모바일 망명'이라는 미명하에 다음카카오에서 서비스하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Kakao Talk)'을 떠나야한다고 이야기하면서, 보안이 철저하다고 알려진 '텔레그램'으로의 '망명'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텔레그램은 순식간에 '앱 다운로드 상위권'에 오르..
-
중국, '페이스북'은 되고 '라인, 트위터'는 안 된다?-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7. 10. 08:27
모바일 시대에 접어든 우리 사회는 시간이 지날 수록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앱/어플/App/Application)'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 작동의 근간이 되는 '모바일 운영체제(OS)'라고 불리는 1차 플랫폼은 이미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가 장악하고 있지만, 모바일 2차 플랫폼이라고 불리는 서비스 플랫폼(Service Platform)으로 불리는 SNS 서비스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등은 여러 기업들이 많은 수의 사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SNS 등의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습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모바일 시장'이면서, 많은 수의 '사용자'를 확보..
-
다음-카카오 합병? 그럴듯한 시나리오가 그려지는 이유.-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5. 25. 23:52
2014년, IT의 중심이 모바일이 되면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기업들의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졌습니다. 글로벌 기업, 그 중에서도 실리콘밸리의 IT기업들은 세계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여러 기업들을 인수하면서 자신들의 사업 영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사업에 발을 들여놓고 있습니다. 기업 인수합병(M&A)는 어제 오늘의 일만은 아닙니다. 기업들은 언제라도 서로에 이익이 된다면, 변화를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고, 지금 시대는 그런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기업들만이 살아남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세계 IT시장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도 한 차례 변화의 바람이 불어닥칠 기세입니다. 매일경제신문(기사보기)을 통해서 '다음 커뮤니케이션(Daum Communication..
-
라인 가입자 4억, 어디까지 갈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12. 12:24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세계 각국의 기업들은 모바일 플랫폼 선점을 위해 치열한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1차 모바일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모바일 OS의 경우에는 현재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의 2강 구도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시간이 지날 수록 개방형 모바일 OS라고 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의 점유율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습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iOS는 그 안정성과 보안적인 측면, 그리고 애플만의 UI와 디자인 등으로 결코 안드로이드에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차 모바일 플랫폼이 2강 구도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2차 모바일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앱, SNS(소셜 네트..
-
카카오톡, 인터넷브랜드가치 1위. 그 의미는?-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2. 24. 21:47
카카오톡의 인터넷브랜드 가치 1위. 그 의미. 카카오톡(KAKAO TALK, 카카오/KAKAO)이 브랜드가치평가지수(BSTI)에서 '인터넷 업종 부문'에서 1위에 올랐습니다. 바로 그 뒤, 2위에는 네이버(NAVER, Naver Corp)가 랭크되었습니다. 네이버는 2004년 다음(Daum, 다음커뮤니케이션)을 따라잡아 1위를 한 뒤로 10년 동안 BSTI 인터넷 업종 부문에서 1위 자리를 내 준 적이 없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 을 수 없겠죠. 네이버가 10년 동안 지켜오던 자리를, '카카오톡'이라는 모바일 메신저에게 내주었으니까요. 사실상, 아마도 BSTI 인터넷 업종 부문이 생긴 이래, 다음(Daum)과 네이버(Naver)라는 대한민국 양대 '포털'이 지켜오던 자리를 '모바일 메신저'에게..
-
애니팡에 대한 고찰 - 우리는 언제부터 애니팡(ANiPANG)을 하지 않았는가?- 생각 저장소 2013. 2. 9. 21:48
1. 우리는 언제부터 애니팡을 하지 않게 되었는가? 이 글의 제목과 같은 말이다. 그럼, 질문에 대답을 해 보자. 작년(2012년) 9월부터 10월을 지나면서, 거리 곳곳에서 동물들의 울음이 울려퍼졌다. 지하철 곳곳에서, 카페 곳곳에서 동물들은 소리를 질러댔다. 그러던 것이, 11월을 지나면서 서서이 잦아들기 시작해서 12월이 지나자 거의 사라졌다. 선데이토즈(애니팡 제작사)에서는 동물들의 비명을 다시 살려내보려고 여러가지 대안을 마련했지만, 동물들의 비명은 더 작아졌고, 이제는 거의 들을 수 없게 되었다.[사실 그 대안(업데이트) 때문에 나는 애니팡을 떠나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떠났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언제부터 애니팡을 하지 않게 되었는지를 말이다. 대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