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
▷ 유튜브 실버 버튼 수령 소회 (→ 5개월 만에 10만 구독자 달성 넋두리)- IT 패러다임 읽기/IT 칼럼 2019. 12. 11. 15:42
감회가 새롭다.2015년과 2016년, 티스토리 인기 블로그에 선정되면서 소정의 상품을 받은 이후,온라인상의 활동으로 상품을 받는 것은 거의 3년 만이다. 몇 년 전부터, 대세는 유튜브로 이동하고 있음을 인지했다.유튜브는 그저, 취미 영상을 올리는 정도였다. 그러나, 결정을 해야했다.티스토리가 점점 소외받는다는 것을 인지했다.카카오의 정책 변화 과정에서 티스토리의 비중이 점점 작아지는 듯 했다. 사람은,관심을 받고, 뭔가 잘 될 때 더 힘이나고 잘 하고 싶어진다.어느정도 성과를 거둔 뒤에는,과거의 성과 그 이상을 원하게 된다.초창기, 성과가 없을 때는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지만 성과를 이룬 뒤에는 그 성과를 유지하거나, 그 이상이 되어야만 만족한다.그런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과거와 비슷한 에너지를 투..
-
→ 유튜브 돈벌기(수익창출) 꿀팁 - '조회수'보다 '시청시간'이 중요하다-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9. 6. 9. 11:53
요즘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되려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관심사를 콘텐츠로 만드는 창작 활동을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흥미진진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자신만의 콘텐츠', '자신의 브랜드화'를 통해서 스스로를 알릴 수 있다는 점 외에, 이같은 활동이 '수익 창출(돈벌기)'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튜브가 가지는 하나의 매력이 추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앱일 분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카카오톡, 네이버 등을 제치고 나이를 불문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앱)'이 되었다는 것은 의미심장한 일입니다. 이는 그만큼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튜브 수익 ..
-
유튜브 수익창출 검토 승인 소요 기간 산정의 원리(방법) - 경험과 추론- IT 패러다임 읽기/IT 칼럼 2019. 5. 23. 11:15
바야흐로 '유튜브'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종 매체에서 '유튜브'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오랫동안 사용하는 서비스(앱/애플리케이션)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이들이 '유튜브'를 시청하고, 많은 사람들이 동영상을 제작하고 업로드 합니다. 동영상을 업로드하면,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입니다. 물론, '수익 창출(광고 송출)'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채우고, 검토(심사) 단계를 거쳐서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 기본적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근 12개월 간의 채널 시청 시간이 4,000시간(240,000분) 이상. -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 -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 프로그램 정책 준수. 많은 사람들이 '1000명'의 구독자, '4000시간'의..
-
10억 사용자 '인스타그램', IGTV로 구글(유튜브) 잡으러 가나?-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8. 6. 26. 13:55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핫'한 소셜미디어를 뽑으라면 '인스타그램(Instagram)'을 뺴놓을 수 없습니다. 지난 2012년 당시 페이스북(Facebook, Inc.)이 인스타그램을 10억 달러(약 1조 1천억)이라는 거금을 들여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큰 화제를 모았는데,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월간 사용자(MAU)가 10억 명, 기업 가치 1000억 달러라는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SNS로 자리잡았습니다. 2012년 당시 인스타그램의 가치가 시장에서 1000억 달러로 평가 받았고, 3천 만 명의 사용자 가치가 약 5억 원 정도로 추산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놀라운 성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인스타그램이 최근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서비스 'Instagram IGTV' 서비스를 론칭하..
-
2015년 유튜브 뮤직비디오 베스트10 -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던 M/V top 10.-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5. 12. 21. 09:31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사이트를 중 하나를 이야기 할 때 '유튜브(YouTube)'를 빼 놓을 수 없습니다. 흔히,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라는 수식어가 붙은 유튜브는 모바일 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콘텐츠를 즐길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지만,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액션캠(고프로 등)을 통해서 누구나 간단한 동영상 제작이 가능하고 업로드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더욱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뮤지션들이 유튜브에 자신들의 뮤직비디오나 공연 영상을 등록해 놓는데, 사람들은 유튜브에서 뮤지션들이 올려놓은 뮤직비디오를 보며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한편, 뮤지션들에게는 '세계적인 스타'로 떠오르는 기회가..
-
유튜브(YouTube), 스타 '유튜버(Youtuber)'가 보여준 저력과 변화의 가능성.-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5. 10. 15. 11:01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변화를 맞이한 우리의 삶이 모바일 시대로 접어들면서 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관련된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인터넷의 활용 가능성을 한단계 더 끌어올렸고,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빠르고 편리하게 '콘텐츠(Contents)'를 접할 수 있게 됐습니다. 특히, 세계 최대 동영상 서비스 업체인 유튜브(YouTube)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나날이 늘어나는 가운데 유튜브에 DIY영상을 업로드하는, '유튜버(Youtuber)'라 불리는 개인 콘텐츠 제작자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최근 이들 개인 콘텐츠 제작자들 중, 콘텐츠를 통해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사람(YouTube Top Star)들 몇 명을 LA에 위치한 유튜브 스페이스(YouTube Space)에..
-
유튜브, '게임 스트리밍 시장' 장악 위한 움직임. '안드로이드 폰'에서도 실시간 중계 가능해진다.-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5. 9. 18. 09:00
전 세계 수 많은 기업들이 '콘텐츠' 산업에 발을 들여 놓으면서, '어떤 콘텐츠를 제공할 것인가', '어떻게 콘텐츠를 제공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지난 9월 9일, 4세대 애플TV(4th-generation Apple TV)를 선보이며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TV와 인터넷 콘텐츠를 아우르는 '콘텐츠 허브'의 역할을 할 것임을 밝혔고, 구글은 세계 최대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YouTube)'를 활용하여 '동영상 서비스'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 장악을 위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Amazon Inc.)은 작년 8월 세계 최대 비디오게임 스트리밍 서비스업체인 '트위치(Twitch)'를 인수하는 등의..
-
페이스북, '유튜브'와 경쟁 본격화 - 'QuickFire'인수로 동영상 시장 공략- IT 패러다임 읽기/애플 읽기 2015. 1. 10. 09:30
지난 2014년, IT업계에서 가장 핫한 인물 중 한명을 꼽으라면 '페이스북'의 창업자이자 CEO '마크 저커버그(Makr Elliot Zuckerberg/주커버그)'를 꼽을 수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나날이 성장하는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을 통해서 거둬들이는 엄청난 수익으로 공격적인 기업 인수와 투자를 감행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최고의 인터넷기업이라고 불리는 '구글(Google)'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상대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입니다. 특히,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는 광고 플랫폼 사업, SNS사업, 무인항공기 사업 등에서 구글과 경쟁하며 '구글'을 꺾을 것이라는 야심을 여러차례 드러내기도 했는데, 지난 1월 8일(미국 현지시간) 페이스북은 동영상 서비스 스타트업..
-
유튜브(YouTube)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야욕 드러내나.-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5. 28. 07:00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동영상 서비스 업체를 뽑으라면 누구나 '유튜브(You Tube)'를 뽑을 것입니다. 전 세계인이 이용하는 동영상 서비스가 되다보니 유튜브는 동영상을 공유하는 사이트를 떠나서 가끔은 '스타'를 탄생시키기도 합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가수 '싸이(Psy)'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동영상을 올리고 공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을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기 때문에 싸이의 뮤직비디오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싸이는 일약 '대스타'가 되었습니다. △ 유튜브(YouTube)는 세계 최대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사이트이다. 구글의 든든한 자회사인 '유튜브'가 최근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회사인 '트위치(Twitch)'를 인수하기 협상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