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툴
-
프로젝트/팀플 협업툴, 팀즈/슬랙 아닌 '잔디'를 쓰는 이유.-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8. 11. 27. 23:23
요즘은 스타트업이나 IT기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여러 기업들이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협업툴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요즘은 의사 소통이 모바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다보니 프로젝트/팀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어떤 협업툴을 사용할 것인지, 그리고 협업툴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많은 IT기업과 스타트업, 그리고 여러 커머스 업체 등은 슬랙(Slack)이나 팀즈(Teams)와 같은 외국산 제품이 아닌 국산 협업툴 '잔디(JANDI)'를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국내 많은 기업들이 선택한 결과 현재 잔디는 국내 협업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그만한..
-
협업 도구, 제조업/F&B에서도 업무 효율 높이는 일등 공신.-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8. 11. 14. 22:32
주 52시간 근무, 최저임금상승 등 노동 환경이 변화하면서 여러 기업들은 업무 '효율성' 증대를 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여러가지 방법이 제시될 수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기존 직원들 사이의 소통 증대를 통한 업무 공백 최소화, 업무 절차의 간소화, 업무에 대한 개개인의 책임감 증대를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을 꼽을 수 있는데요, 이런 것들은 협업툴(기업용 메신저)를 통해서 간단히 실현할 수 있습니다. 흔히 '협업 툴(기업용 메신저)'은 스타트업이나 IT기업, 소셜커머스 등 인터넷/온라인 관련 기업들이 주로 사용하는 협업 도구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제조업, F&B 프렌차이즈, 리테일, 의류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군에서도 협업툴을 사용해서 업무를 진행하..
-
직장인 팀프로젝트 & 과제 팀플, 효율적으로 만드는 필수 어플 5가지.-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8. 10. 31. 08:22
요즘은 직장 내에서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팀별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생들도 과제를 할 때는 팀프로젝트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취업 스터디를 하는 사람들도 '모임'을 만들어서 스터디를 하면서 자료 공유도 하고 효율을 높이고 있죠. 팀프로젝트/팀플에서 중요한 것은 팀원들 사이의 소통과 원활한 자료 공유라고 할 수 있는데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좋은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 중요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팀 프로젝트/팀플'을 위한 필수 프로그램 5가지를 소개합니다. - 팀 프로젝트/팀플을 위한 필수 앱 5가지. 1. 잔디(JANDI) : 우리나라에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국산 협업툴. ▶ 잔디 다운로드 ☞ iOS 아이폰 앱스토어 / 구글플레이 스토어▶ 잔디 공식 블로그 www.jandi.com/k..
-
협업툴 '잔디(JANDI)' 100% 활용하기 : 구글 캘린더 연동.-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8. 10. 17. 14:15
요즘 스타트업이나 여러 기업들이 업무용 메신저로 카카오톡 대신 '잔디(JANDI)'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합니다(관련 글 ☞ 협업툴, 업무용 카톡 대신 기업용 메신저 '잔디'를 쓰는 이유). 여러 팀들이 카카오톡 단톡방 대신 협업툴인 잔디를 이용하는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잔디에 내장되어 있는 강력한 기능인 '외부 프로그램 연동'이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잔디 커넥트(JANDI Connect)'라고 불리는 외부 프로그램 연동에서는 웹훅(Webhook), 구글 캘린더(Google Calendar), RSS 구독, 트렐로(Trello), 지라(JIRA), 깃허브(GitHub), 비트버킷(BitBucket) 등의 서비스와 잔디를 연결할 수 있는데, 구글 캘린더와의 연동은 여러가..
-
협업툴, '슬랙(slack)' 대신 '잔디(JANDI)'를 쓰는 이유가 있다.-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8. 9. 21. 00:09
팀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협업툴이나 메신저를 통해서 자료를 주고받거나, 의견을 교환하는 일이 많습니다. 많은 사람/팀들이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이유로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 카카오톡은 '협업툴'이 아닌 모바일 메신저(Mobile Messenger)이기 때문에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파일 전송/저장, 자료 찾기 및 보관, 외부 서비스 연결 등 프로젝트/업무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협업툴에서 제공하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카톡'에는 없다는 점이죠. 그렇기 때문에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협업툴'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협업툴을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실용적면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선택이 될까요? 인지도 면에서 좀 더 나은 평가를 받고 ..
-
협업툴, 업무용 카톡 대신 기업용 메신저 '잔디'를 쓰는 이유.-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8. 9. 13. 18:16
요즘은 스타트업이나 규모가 큰 회사들에서 팀별, 부서별로 일을 할 때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카톡 단톡방을 통해서 업무 관련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요, 카톡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손쉬운 접근이 가능하고 '빠른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겠죠. 그렇지만 '협업툴'로 카톡을 이용하기에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회사와 프라이버시를 분리하고 싶은데, 카톡으로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사생활이 노출되는 느낌을 받기도하죠. 그래서 여러가지 불편함을 없애고자하는 스타트업이나 중소/중견기업들을 중심으로 '업무용 메신저'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은데요, 업무혁신을 위한 협업툴 '잔디(JANDI)'가 뜨고 있다고 합니다. △ 기업용 메신저 '잔디'스타트업, 기업 내 소규모 팀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