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
통신 3사 '데이터 중심 요금제'와 '알뜰폰 허브 사이트'의 등장 - 이통시장 변할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5. 5. 22. 11:25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전화/휴대폰'이 없으면 생활이 안 될 정도로 중요한 물건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물건이 된 만큼, 많은 사람들이 '통신사'와 관련된 정책에 큰 관심을 보이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주요 통신 3사인 SKT, KT, LG유플러스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각각 선보이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온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한편, 휴대폰 요금이 과도하게 비싸다는 지적과 통신사들이 불필요하게 많은 요금을 부과한다는 인식 속에서 '알뜰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서서히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는 '알뜰폰'사업자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이야기 했고, '알뜰폰 ..
-
단통법 시행. 스마트폰 바꾸러 휴대폰 대리점 가봤다.-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10. 2. 09:00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하면서, 가장 눈에띄는 거리의 변화는 '휴대폰 대리점'이 눈에띄게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고가의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의 3대 통신사인 SKT, KT, LG U+에서는 조금이라도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막대한 금액의 보조금을 투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 속에서 '호갱(호구 고객)'이라는 말이 등장했고, 'OOO대란'이라는 말도 생겨났습니다. 결국, 우리 생활의 필수품격이 되어버린 '스마트폰'과 관련된 폐해를 막고자 정부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을 제정하여 2014년 10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통법'은 시행되기까지..
-
'SKT 데이터 함께쓰기'에 대한 '불편'한 진실 -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사항-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4. 7. 18. 23:21
요즘 태블릿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애플의 아이패드(iPad)뿐만 아니라 삼성의 갤럭시 탭, 넥서스 그리고 델(Dell)에서 나오는 제품까지 태블릿의 종류는 가격별로 다양합니다. 태블릿을 구입할 때 와이파이(Wi-Fi)버전으로 구매하는 사람도 있지만, 아이패드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셀룰러(Cellular)버전을 구입합니다. 그러면서, 한 가지 고민을 합니다. 어떤 요금제로 써야하나? KT의 경우 셀룰러 버전의 태블릿은 '데이터 쉐어링'서비스를 이용하면 되고, SKT의 경우에는 '데이터 함께쓰기'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추가로 돈을 더 내지 않고, 현재 자신이 쓰고있는 휴대폰 요금제의 데이터를 휴대폰과 태블릿에서 나누어서 쓰는 것입니다. △ '데이터 함께쓰기'는 돈을 더 내지 않고도 ..
-
LTE무제한 요금제? 통신사의 이익 추구위한 전략일 뿐.- IT 패러다임 읽기 2014. 4. 4. 10:21
스마트폰이 우리나라에 서서히 보급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스마트폰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가구당 통신비 지출 금액이 급격한 증가를 보여왔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화 이전에는 가계 지출 중에서 통신비에 대한 지출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 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본격적인 보급 이후 통신비 지출이 가계에 부담이 되는 수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지출의 큰 증가를 보여왔습니다. 그리고 그와 비례하여 통신사들의 이익도 증가하였음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통신비 지출 증가가 서민들의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잇따르자 MB정부에서는 통신사들과 협의하여 통신비를 낮추겠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결과 발신번호표시(CID)서비스가 무료화되고, 문자 요금이 30원에서 20원으로 하락했습니다. 통신사들은 ..
-
SKT 갤럭시S5 조기 판매. 씁쓸함이 남는 이유.- IT 패러다임 읽기/삼성 읽기 2014. 3. 28. 08:40
전 세계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는 가운데, 지난 2월 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4MWC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 IT기업인 삼성은 자신들의 새로운 전략 스마트폰인 갤럭시S5를 발표하고, 4월 11일 전 세계 동시 판매에 들어갈 것임을 알렸습니다. 스마트폰의 원조인 애플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의 행동은 전 세계 IT관련 매체는 물론이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각종 가십거리를 만들어 왔습니다. 삼성은 자신들의 새로운 스마트폰인 갤럭시S5가 '혁신'은 없었다는 비판을 받는 것을 지켜봐야했고, 일부 사람들은 전작인 갤럭시S4와 비교해 봤을 때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오히려 갤럭시S4가 더 잘 팔릴 것이라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
SKT 통신장애 보상 대책. 사람들이 화내는 이유.- 생각 저장소 2014. 3. 27. 10:12
삐삐의 시대가 지나고 휴대폰이 사람들에게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지 15년 정도 지났습니다. 그동안 눈부신 IT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폰은 스마트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우리는 휴대폰을 통해서 많은 편리함을 누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느덧 휴대폰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휴대폰을 사용하는 이유를 한가지를 말하라고 한다면 "언제든지 연락하고 싶은 사람에게 연락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사람이 대다수 일 것입니다. 휴대폰이 스마트폰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지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부여되었지만, 여전히 휴대폰 본연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상대방과 연락할 수 있는 기능'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3월 20일 SK Te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