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
Nike 모시기에 나선, 구글. 그리고 애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28. 07:58
삼성의 웨어러블기기인 기어2(Gear2)와 기어핏(Gear fit)이 시장에서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스마트워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나이키가 그동안 제작/판매를 해 왔던 웨어러블기기 스마트밴드(Smart Band)인 '퓨얼밴드(Fuel Band)'사업에서 손을 떼겠다고 발표하면서 스마트워치/스마트밴드 시장의 판도에 약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나이키는 스마트기기 '하드웨어'부문에 대한 투자와 제품 개발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지만, 'Nike+(나이키플러스)'로 대표되는 피트니스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사업은 계속 이어간다고 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 부문에서 손을 뗀 이후,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더욱 뛰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임..
-
게임 셧다운제 합헌. 득일까 실일까?- IT 패러다임 읽기 2014. 4. 25. 07:30
20여년 전 우리나라에 개인용 PC가 서서히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함께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 디스켓 게임이었습니다. 이후 386, 486, 팬티엄 컴퓨터가 나오면서 컬러 게임이 나오고, 디스켓 게임은 CD게임으로 바뀌었고, CD게임을 하던 사람들은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온라인 게임'이라는 곳으로 이동해 갔습니다.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온라인 게임들이 쏟아져 나왔고 언제부턴가 사람들은 '게임 중독'에 대해 이야기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이야기와 함께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을 막고 충분한 수면 시간을 보장해주어 모범적인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게임 규제'를 해야한다는 목소리들이 나왔습니다. △ 헌법제판소는 밤12..
-
공인인증서 폐지, 소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IT 패러다임 읽기 2014. 4. 24. 07:41
오래전부터 공인인증서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어 왔고,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한 논란이 조금씩 있어왔지만 언제나 논의는 흐지부지 된 채로 2014년까지 흘러왔습니다. 그 결과, 대한민국은 인터넷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보안에 취약하고, 후진적인 '인터넷 결제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중 하나가 되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올해 초 외국인들의 불만을 접수한 박근혜 대통령이 '공인인증서 제도의 사용을 없애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해 보라'는 지시 이후 내국인들에게도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않고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논의가 있어왔고, 급물살을 탄 '공인인증서 논란'은 지난 3월 금융위원회는 '전자금융감독규정 시행 세칙'에 대한 개정을 이야기했고, 결국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규정 폐지'라는 ..
-
나이키, 애플 아이워치에 힘 실어주나?- IT 패러다임 읽기/애플 읽기 2014. 4. 23. 13:28
많은 전문가들이 2014년을 시작으로 웨어러블기기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이야기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의 기어2(Gear 2)와 기어핏(Gear fit)을 시작으로 2014년에는 뛰어난 성능을 지닌 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글로벌 IT기업들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모토로라, LG, 애플 등의 글로벌 IT기업들이 내놓을 스마트워치가 어떤 기능을 담고 있을지 기대하고 있는 가운데, 나이키가 최근 자신들의 '스마트밴드'인 FuelBand(퓨얼밴드)의 개발을 더이상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퓨얼밴드 개발팀에 소속되어있던 엔지니어들을 대량으로 해고하였는데, 이런 나이키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사람들은 '애플과 나이키의 관계'와 함께 애플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습..
-
'팬택' 해외매각? 쌍용차 사태 재현되는 것 아닐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22. 08:06
세계 휴대폰 시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IT기업의 지형도에 변화가 생긴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습니다. IT기업 지형도에 가장 큰 변화는 스마트폰 시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노키아와 모토로라의 몰락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과 애플이 주도하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좋은 제품을 만들어 내고 있지만, 여전히 삼성과 애플을 제외하면 다른 기업들은 스마트폰 부문에서 수익을 많이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내 IT벤처 기업으로 시작한 팬택은 벤처 회사임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인 LG, 삼성과 어깨를 견줄만큼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대전화 사업에서의 성공하면서 한때는 LG전자를 제치고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나 계속 되는 적자로 인해서 결국 지난 3월 5일 워크아웃(기..
-
MS가 지금 필요로 하는 것, 빅 데이터(Big Data).-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22. 07:30
구글의 CEO였던 에릭 슈미트는 2010년 Technomy Conference(테크노미 컨퍼런스)에서 "인류 문명 이래 2003년까지 5엑사바이트의 데이터를 만들어냈지만, 지금은 2일 마다 같은 양의 데이터가 창출된다"라는 말을 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 증가로 인해서 새로 만들어지고, 유통되는 정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예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타임라인만 봐도 매 순간 새로고침을 할 때마다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는 것을 볼 수 있고,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매 순간 새로운 방문자들이 블로그에 흔적을 남기고 그런 것들이 모두 기록으로 남는다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매 순간 새로운 정보들이 누적되고 그런 것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
-
다음뷰, '손가락 추천' 왜 할까? - 손가락 버튼에 대한 고찰- 생각 저장소 2014. 4. 21. 22:26
많은 블로거들이 블로그에 글을 포스팅 한 다음 하단에 '다음뷰(Daum View)'손가락 버튼을 설치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지금 이 글을 적고 있는 필자도 '다음뷰'에 발행을 하면서 손가락 버튼이 설치되도록 합니다. 그런데 다른 블로그에 들어가 글을 보다보니 뭔가 의문점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저 혼자만의 의문일 수도 있으나 잠시 그 의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잠자리에 들어야 겠다고 생각한 나머지 밤이 깊어가는 이 시각에 글을 적고 있습니다. 한가지 질문을 해도 될까요? 여러분은 '다음뷰' 손가락 버튼의 본질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다른 블로그 글을 읽고, '괜찮은 글이다'라고 생각되면 '손가락 버튼'을 눌르곤 했습니다. '추천'의 의미로 말이죠. 여러분은 어떤 의미로 '손가락 버튼..
-
페이스북 'Nearby Friends'기능,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 비껴갈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21. 08:23
요즘 사람들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어플)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페이스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SNS기업이라고 불리는 페이스북(Facebook)은 구글, 애플 그리고 삼성 등의 기업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 기업이지만, 전 세계계 적으로 10억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기에 사람들은 페이스북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관심을 가지고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냅니다.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과 소통을 하는 도구로 페이스북을 이용합니다. 그러나 페이스북 생태계 속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뒤섞여 있다보니, 페이스북에 대해서 종종 '프라이버시 논란'이 불거지기도 합니다. SNS라고 하는 것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데에는 유용한 도구가 되지만, ..
-
스마트폰 카메라. 구글이 혁명을 일으킬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18. 08:22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고르는 데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카메라'입니다. 특히, 삼성과 LG는 뛰어난 카메라 성능을 가진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카메라에 대한 평가가 좋고, 애플의 제품 또한 뛰어난 화질로 사람들의 평가는 좋은 편입니다. 카메라 기능은 가장 많이 이용되는 스마트폰의 기능 중 하나이고, 눈으로 드러나는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카메라 성능의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사진이 잘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첨단 기술들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애플의 아이폰6 카메라에 대한 루머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기도 했습니다. 애플은 카메라 렌즈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를 출원함으로써 아이폰6의 카메라에는 DSLR 이나 SLR처럼 '렌즈'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