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
옛날(아날로그) 사진 속 추억을 스마트폰으로 쉽고 선명하게 옮기는 방법 - 구글 포토스캐너-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7. 7. 26. 09:00
DSLR, 미러리스 등의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는 것이 일상화되면서 '아날로그 사진'은 그 존재 자체가 아련한 옛 추억이 되어버렸습니다. 손 끝으로 추억을 느껴가며 아날로그 사진들을 뒤적이는 그 마음. 그래서인지 요즘은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을 포토북으로 만들어 보관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가끔은 '아날로그 사진'을 그 느낌을 살리면서 '스마트폰'이나 PC로 옮겨야 할 때, 옮기고 싶은 순간이 있는데, 스캐너가 없을 때 아주 편리하고 선명하게 '스마트폰'으로 옮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옛 추억을 다시 스마트폰으로 쉽게 옮길 수가 있는 것이죠. △ 구글 포토스캐너(무료)아날로그 사진을 손쉽게 그리고 사진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서 원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스마트폰으로 옮길 수 있다..
-
→ 스마트폰 휴면계좌조회 이용 방법. 휴대폰에서 사용해보니 좋네요!-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7. 4. 24. 07:17
[ Life is Travel, 엔조이 유어 라이프 닷컴! ] 안녕하세요, 엔조이 유어 라이프 닷컴! 입니다. 뉴스에서 금융위원회가 휴면계좌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선보였다는 이야기를 접하고나서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휴면계좌통합조회 서비스를 이용해봤어요! 뉴스에서는 인터뷰를 하면서 휴면 계좌 조회 서비스를 이용해서1000만원이 예금되어 있는 휴면 계좌를 찾아냈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는데요, 말 그대로 '잠자고 있는 돈'을 찾을 수 있죠! 혹시라도 내가 잊고 있던 (휴면)계좌에 돈이 있다면 얼마나 기분이 좋을까요? 저도 그런 기대감을 가지고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이용해서 휴면 계좌를 조회해 봤어요. 그랬더니.. 휴면계좌는 두 개가 있는데 돈은 몇 백 원이 있더라고요 ㅎㅎ 스마트폰에서도 ..
-
'싸이메라' SNS로 진화. SNS 시장에서 성공할까?-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5. 8. 08:31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불리던 인터넷이 모바일과 결합하면서 지금의 시대를 '모바일 시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런 모바일 시대의 플랫폼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떠오르면서 SNS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도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는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도구라는 의미로 본다면 트위터, 텀블러를 비롯해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인 카카오톡, 라인, 위챗 등 다양한 서비스들 까지 포함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작년 말, SNS에 대한 버블 논란이 제기되면서 2,000년대 초반 붕괴되었던 '닷컴 버블'에 이은 'SNS버블'이 곧 무너질 것이라는 말이 있었지만, 아직은 SNS가 버블인지 가능성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단계에 있다고 생각됩니다. 페이스북과 같은 일부 기업들..
-
표지판, 안내문 번역 어플 - Word Lens(워드렌즈). 해외 여행 필수품- IT 패러다임 읽기/IT's Tip : 사용 후기 & 정보 2014. 4. 24. 20:08
안녕하세요^^ IT패러다임 읽어주는 남자, '자유인'입니다^^ "여행 좋아하시나요?"라고 물으면 좋아하지 않는다고 대답하는 사람이 없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갈망합니다. 국내 여행도 좋지만 해외여행을 가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습니다. 그러나, 외국 말을 잘 못 해서 걱정이 앞섭니다. 남미, 중미, 스페인에 가고 싶은데 스페인어를 못해서 망설이시나요? 아니면 독일, 이탈리아에 가고 싶은데 망설이시나요? 이런 걱정을 덜어줄 어플이 있습니다. 물론, '영어'는 조금 해야합니다^^ 이게 이 어플의 단점이라면 단점! 곧 한국어 버전도 나오겠죠? 기대해 봅니다. 한국어 버전 만들어 달라고 개발자한테 문의 메일이라도 넣어 봐야겠네요. 외국 여행 갈 때, 쓰면 아주 좋을 어플입니다. 요즘 사람들이 많이 가는 '스페..
-
컴퓨터 원격제어 경쟁, MS와 구글 전면전 벌이나?- IT 패러다임 읽기/구글 & 다른 기업 읽기 2014. 4. 21. 07:30
개인용 컴퓨터(PC)의 사용일 일반화되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된 뒤 생겨난 '컴퓨터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사람들 사이에서 유용하게 쓰였습니다. 상대방의 컴퓨터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제어하고, 작동할 수 있게 되면서 컴퓨터에 문외한이던 사람들이 컴퓨터를 잘 다루는 사람으로부터 손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획기적인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여전히 '두 대의 PC'사이에 작동하는 PC to PC원격 제어 프로그램이 쓰이고 있긴 하지만 모바일(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과 비교하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2010년 스티브잡스의 'Psot PC(포스트PC)'시대와 빌게이츠의 'PC+(PC plus/PC플러스)논쟁이 있었지만, 지금의 시대가 PC+시..